디지털패션디자인
( Digital Fashion Design )
|
Texp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rint, weave, knit 등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, 도식화를 그리며, 사진에 2D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배운다. 최종적으로 Texpro, Photoshop, Illustrator 프로그램를 사용하여 이미지맵, 텍스타일 디자인, 패션일러스트레이션, 도식화, 2D 시뮬레이션 작업을 통해 패션 컬렉션을 개발하고 프레젠테이션한다.
|
서양복식문화사
( History of Western Costume )
|
양복의 원류를 이루는 서구복식을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대표적 복식의 디자인(형태, 색채, 소재, 디테일)과 술어의 변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다루어 패션 문화의 흐름을 파악함과 동시에 각 문화의 특색과 영향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.
|
어패럴CAD및생산(캡스톤디자인)
( Apparel CAD & Production(Capstone Design) )
|
의류 생산 공정과 현장에서 사용하는 Apparel CAD 시스템을 패턴 메이킹, 그레이딩, 마커 메이킹 실습을 통하여 배우고 이해하도록 한다.
|
패션VMD(캡스톤디자인)
( Fashion Visual Merchandising(Capstone design) )
|
패션을 홍보하고 광고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와 광고 방법 등을 배우고 사진, 그래픽 작업 등을 통해 실무 능력을 익힌다
|
패션리테일링
( Fashion retailing )
|
패션상품의 소매유통 판매 전략에 대해 학습한다. 패션상품의 국내 및 국제 소매유통 현황에 대해 이해하고 효과적인 소매 판매 전략에 대해 학습한다. 특히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리테일 이슈들을 패션 소매업에 접목하여 향후 패션 소매업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다
|
패션문화콘텐츠(캡스톤디자인)
( Fashion Culture Content(Capstone Design) )
|
고대부터 현대까지 전 세계의 패션문화콘텐츠를 통해 패션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을 연구한다. 시간과 공간과 문화를 초월한 분석적 시각을 통해 패션과 문화와 인간에 대해 이해한다.
|
패션소재기획
( Fashion Textile Planning )
|
패션 소재 특성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텍스타일 소재를 기획하기 위해 트랜드, 소비자, 기술에 관한 정보 조사 및 분석과정을 학습한다.
|
패션소재설계
( Fashion Textile Development )
|
패션소재에 대한 구조 분석 및 구성 원리를 파악하고 생산에 대한 이해를 통해 직물 및 니트 등 소재를 설계하는 능력을 키운다.
|
패션정보분석
(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)
|
디자인, 상품기획, 생산, 유통, 판매 등 패션산업 전 분야를 이해하고 패션 트랜드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을 기른다.
|
패턴디자인(2)
( Pattern Design 2 )
|
패턴디자인 1을 기초로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를 선택하여 보다 종합적으로 의복을 구성함으로써 전반적인 이해와 응용력을 갖도록 한다.
|